실리콘밸리 10+년, 한국 IT 용어가 어려워요 : (5) “회고”, “부검”

Agile 방법론을 제대로 배우기 이전부터 개인이나 팀이 했던 일을 돌아 보았는데, 이런 일을 아주 오랫동안 두리뭉실하게 ‘review’ 라고 불렀다.
Monthly review, Quarterly review, OKR rating / planning 등..
리뷰에 관련한 건 다음 토픽으로 남겨 두기로 하고,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돌아봄’에 해당하는 두 단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Retrospect(회고)

Agile – Sprint 에서 주로 쓴다.
Google에서의 좋았던 경험으로는 두 가지가 있었다.

1) 큰 과제를 정신없이 달려와 런칭한 후 축하 파티 하기 직전에 했던 것
2) 과제가 삐걱거리면서 하다가 재정비를 위해 잠깐 쉬면서 했던 것

관리자 입장으로 좋았던 건, 다음 일감을 계획하기에 좋은 정보들이 모이기도 했던 것.
반대의 입장일 때는 억지로 불편한 걸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던 것.
What went well 과 what could be better 라는 용어로 기록을 남겼는데, 직접 대화를 할 때 확실히 효과가 컸었다.

한국 업계로 들어오면서 ‘회고’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걸 알게 되었다.
참고로 회고의 영어 번역은 아래와 같이 여럿이다.
retrospect가 명사이기도 해서 retrospection 이라는 표현은 생소했고, remembrance, reminiscence 라는 표현은 좀 더 익숙했다.
미국에서 “Retro meeting” 이라고 하면 대충 알아 들었는데, 한국에서 자칫 “retro” 라고 하면 ‘복고’로 오해를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회고’를 ‘퇴고’로 듣기도 했다.

한국에서 접한 회고는 이랬다.
1) 2주마다 매 sprint 를 치르며
2) 의무적으로 회고를 하고
3) 모두가 발언을 하기를 기대하며
4) 꽤 길고 감정 소모가 심했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scrum 이나 sprint 를 잘 운영하는 사람에 따라 편차가 심했던 거 같다.
생각해 보면 미국에서는 조금 편한 편이었는데, 짧은 영어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감정 소모를 덜 하게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Postmortem (사후 검토, 부검)

Google 에서 일하면서 사고를 몇 번 낸적이 있었다.
이런 일은 꽤 있는 편이어고 아주 드물진 않았다.
그 때마다 Postmortem 이라는 곳에 초대되었다. (https://sre.google/workbook/postmortem-culture/)

내가 만든 혹은 남이 낸 사고에 보호 코드를 만드는 이슈를 할당 받기도 했다.
주로 SRE 들이 호출하는데 그닥 유쾌한 기억은 아니었다. ( 어떤 건 나무위키에 박제되어 있기도… )

lesson 을 모아서 다음에 같은 사고가 생기지 않게 하자는 의미인데, 이런 이슈들은 꽤 중요하게 처리된다.
특히 ‘운용’ 단계의 과제들은 더욱 그렇다.
이 문서에 이름이 올라간다고 해서 불이익이 생기거나 편견이 생기는 건 아니었지만, 무서운 단어임에는 변함이 없다.

한국에서도 사고들이 생기면서 SRE 가 없더라도 기록을 남기고자 했다.
그런데 Postmortem을 해보니 한국에서는 조금 더 무서운 번역이 되었다.

“사후 검토”이라는 게 죽을 사(死)가 아닌 일 사(事)이겠지만, 한자 표기 없이 불리다보니 ‘부검’으로 더 많이 불렀다.
그래서 별 고민 없이 ‘사후 부검’, 혹은 ‘사후 검토’라고 했을 때 죽을 사(死)가 먼저 어른어른 거렸다.

한국 정서로는 (원래 취지와는 다르게) 시말서, 경위서에 더 가까운 것 같다.
그래서 조금 더 불편하고, Action Item 들에 대한 강제력이 회사 규모 따라 달라서 어려웠다.

운영팀들에게는 분명 도움이 되겠지만, 해야 할 일들이 생기면서 “그냥 기도하자”, “그냥 버티자”라는 상황도 나왔다.
테크 이외의 조직들이 엮이면 난이도까지 많이 올라갔다.

최근에 여러 뉴스에서 보이던데, 본인의 의지와 관련없이 사고와 사투를 벌이는모든 분들께 무운을 빈다.

댓글 달기

공유하기